리눅스에서는 /etc/rc.local에 등록하면 끝이었지만, AIX는 약간 다르다. 지금 내가 쓰고 있는 AIX의 버전은 6.1이다.
/etc/inittab |
하면 주석을 제외한 맨 첫줄에 (주석은 : 으로 시작한다.)
init:2:initdefault:
라고 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가운데 숫자가 2로 되어 있는 걸 확인하자. 숫자가 2로 되어 있으면 rc2.d 디렉토리 안에 원하는 스크립트를 넣으면 된다.
cd /etc/rc.d/rc2.d
이 디렉토리로 이동하면 여러 스크립트들이 보이는데, 여기에 내가 원하는 스크립트를 넣으면 된다.
다만 스크립트 명을 지정해 줄 때 몇몇 규칙이 있다.
시작은 반드시 대문자 S로 시작해야 한다.
S 다음에 숫자를 넣어야 하는데, 이 숫자의 순서대로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그러니까 S1test 라는 스크립트와 S2test라는 스크립트가 있으면, S1test 라는 스크립트가 실행되고 다음에 S2test라는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그리고 스크립트니까 755 권한을 주고,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는 root의 환경변수를 읽어서 사용하지 않기 떄문에 $APPPATH/bin/app.sh 이런 식의 스크립트는 쓰면 안된다. 꼭 $APPPATH 라는 변수대신 그 변수의 실제 값을 넣어줘야 한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관련 잡지를 찾다가 iOS5로 업그레이드하면서 알게 된 뉴스 가판대 잡지-Popular Photography (0) | 2011.10.14 |
---|---|
애니게이트 공유기 RG 3500 발열 문제 해결하기 - 잘만 방열판 사용 (0) | 2010.09.12 |
도요타 사태로 우리나라 기업들이 배운 것 (0) | 2010.04.13 |